배터리 기술 외
리튬이온전지의 새로운 캐소드 전류 집진기 구현 방법과 기대효과
리튬이온전지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긴 수명을 자랑하며, 휴대용 장치와 전기자동차 등에서 중요한 전력 제공 장치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존의 상업용 전지는 일부 요구사항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활성 캐소드 및 캐소드 물질을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번 기술에서는 알루미늄 박판을 염기성 용액으로 식각하여 그물 형상의 분화구형 구덩이를 가진 표면을 형성하는 새로운 캐소드 전류 집진기를 소개합니다. 이 방법은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켜 더 우수한 전기적 접촉을 제공합니다. 실험 결과, 식각된 알루미늄 박판을 사용한 전지는 50 충전-방전 사이클 이후에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응용 가능성을 보였습니다.
배터리 기술 외
리튬이온전지의 새로운 캐소드 전류 집진기 구현 방법과 기대효과
기술 분야
에너지 저장 기술
판매 유형
직접판매
거래 방식
특허매각
노하우
공동연구
라이센스
가격
가격 협의기본 정보
문서 열람 하기기술명
리튬 이온 전지의 캐소드 전류 집진기,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
기관명
국립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표 연구자
공동 연구자
출원번호
10-2017-0036053
등록번호
10-1850645-0000
권리구분
특허권
권리기간
2017.03.22
중요 키워드
전기화학적 특성
전류 집진기 성능
리튬이온전지
고성능 배터리
친환경 기술
충전-방전 사이클
전기자동차 배터리
긴 수명
배터리 기술 혁신
전기화학적 임피던스
휴대용 전자 기기 배터리
고에너지 밀도
알루미늄 박판 식각
캐소드 전류 집진기
에너지 저장
기술 완성도 (TRL)
기술 소개
발명의 배경과 필요성
기술의 배경과 문제점
- 리튬이온전지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긴 수명을 가지고 있으며, 메모리 효과가 없어 휴대용 장치에 중요한 전력 제공 장치로 사용되어 왔음.
- 지구온난화 등 친환경적 특성에 따라 전기자동차 및 중대형 전지의 개발이 가속되고 있음.
- 하지만 현재 상업용 전지 산업은 높은 중량당 에너지 밀도, 긴 수명, 안정성을 요구하는 자동차, 이동 장치, 고정식 에너지 저장 장치 산업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함.
- 기존에 널리 사용되던 LiCoO2 및 그래파이트 외에도 새로운 활성 전극 물질들이 개발될 필요가 있음.
- 차세대 전지를 위한 새로운 활성 캐소드 및 캐소드 물질이 연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물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연구와 많은 개발 비용이 필요함.
기술의 필요성
- 리튬이온전지의 새로운 활성 캐소드 및 캐소드 물질은 더 높은 에너지 밀도, 긴 수명, 높은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음.
- 기존 전류 집진기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우수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제공하는 전류 집진기가 필요함.
- 높은 에너지 밀도와 긴 수명을 갖는 리튬이온전지는 전기자동차 및 중대형 전지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
구현방법
기술의 원리
- 리튬이온전지의 캐소드 전류 집진기는 금속 박판을 식각용액에서 식각하여 형성됨.
- 이 과정에서 알루미늄 박판은 그물 형상으로 연결된 분화구형 구덩이들을 가짐.
- 이러한 표면 모폴로지는 전기 화학적 특성을 향상시켜 우수한 전기적 접촉을 제공함.
구체적인 구현 방법
- 먼저, 알루미늄 박판을 준비하고 이를 염기성 용액에 침지하여 식각함.
- 식각된 알루미늄 박판은 110MPa~230MPa 범위의 인장강도, 5㎛~10.5㎛ 두께, 40°~66° 물 접촉각, 4nm~10nm의 평균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음.
- 이후, 식각된 알루미늄 박판을 사용하여 리튬이온전지의 캐소드를 구성함.
- 활성 물질과 바인더를 혼합하여 알루미늄 박판에 코팅하고 건조하여 전류 집진기로 사용함.
실험 및 결과
실험의 목적
- 리튬이온전지의 캐소드 전류 집진기의 전기 화학적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 수행.
실험 방법 및 과정
- 알루미늄 박판을 염기성 용액에 침지하여 식각한 후, 이를 리튬이온전지의 캐소드로 제작.
- 제작된 전지를 사용하여 충전-방전 테스트를 수행하고, 전기화학적 임피던스를 측정.
실험 결과
- 식각된 알루미늄 박판을 사용한 전지는 우수한 충전-방전 사이클 안정성을 보여줌.
- 50 충전-방전 싸이클 후에도 초기 충전 용량 대비 85%~99%의 충전 용량을 유지함.
발명의 활용 방안
활용 방안
- 리튬이온전지의 캐소드 전류 집진기는 전기자동차, 휴대용 전자 기기, 에너지 저장 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함.
- 기존의 전류 집진기를 대체하여 더 높은 에너지 밀도와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음.
기대효과
- 리튬이온전지의 성능 향상을 통해 전기자동차의 주행 거리 증가, 휴대용 전자 기기의 사용 시간 연장 등을 기대할 수 있음.
- 더 높은 에너지 밀도와 안정성을 제공하여 에너지 저장 장치의 효율성 증가에 기여할 것임.
시장 동향
리튬이온전지 시장 동향
- 리튬이온배터리(LIB) 수요가 2035년까지 연평균 15.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2035년 수요는 5570GWh에 이를 것으로 추산됨.
- 2023년 리튬이온배터리의 수요는 994GWh로 집계됨. 전기차용 리튬이온배터리가 4760GWh(85%),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리튬이온배터리가 618GWh(11%), 소형 리튬이온배터리가 193GWh(3%)의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됨.
- 리튬이온배터리 ESS 시장은 2023년 185GWh부터 2035년 618GWh까지 연평균 10.6%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임.
- 세계 리튬이온전지 수요는 2023년 대비 5.6배 성장하여 2035년 5570GWh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한국의 리튬이온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의 경우 2035년까지 1159GWh의 생산능력을 갖출 것으로 보임.
전기자동차 배터리 시장 동향
- 2024년 전기차 배터리 수요가 1테라와트시(TWh)를 처음 돌파할 전망이며, 2035년까지 연평균 17% 성장 예상됨
- 2023년 1~8월 세계 각국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사용량은 약 429.0GWh로 전년 동기 대비 48.9% 성장함
- 2023년 전기차용 이차전지 시장 규모는 1210억 달러(한화 약 16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 이차전지 수요는 2024년 941GWh에서 2025년 1244GWh, 2030년 3TWh, 2035년 5.5TWh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2023년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은 약 1407만대로 전년 대비 33.5% 증가함
- 2030년까지 지역별 이차전지 수요는 북미 806GWh, 유럽 762GWh, 중국 1096GWh 수준으로 예상됨
- 전 세계 전기차(BEV+PHEV)의 약 60%가량은 중국에서 판매됨
중대형 에너지 저장 장치 시장 동향
- 글로벌 리튬이온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LIB ESS) 시장 규모가 2024년 235GWh로 전년 대비 27%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금액 기준으로는 약 400억 달러(한화 약 53조 원)로 14%의 성장률임. 2035년에는 618GWh, 800억 달러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됨.
- ESS 시장은 전력을 보관할 수 있다는 특징을 바탕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사용하는 스마트그리드 분야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음. 특히 에너지밀도가 높은 리튬이온배터리를 사용한 ESS 시장이 크게 성장하는 중임.
- 국내의 경우 2018년 ESS 화재 사건 이후 시장이 위축되었으나, 산업자원부 주도의 ESS 산업 발전 전략이 발표되며 시장 회복이 기대되고 있음.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국내 기업들은 안전성이 높은 LFP 배터리를 ESS용으로 계획하며 시장 확대를 꾀하고 있음.
- 2021년부터 글로벌 ESS 시장은 급성장하였으며, 2030년에는 시장규모가 2620억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연평균 20%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 2024년 리튬이온 배터리 평균 가격이 전년 대비 4% 하락한 133 달러/kWh로 전망됨. 리튬 가격 하락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됨.
리튬이온전지 캐소드 물질 연구
- 양극재는 크게 고용량(High Capacity Energy)에 사용되는 산화 물질과, 고출력에 사용되는 인산염계 물질 등 두 가지 갈래로 나뉨. 초기 리튬이온 배터리에 사용되는 LCO(Lithium Cobalt Oxide) 양극재에서 발전이 이루어짐. 망간과 리튬을 다량으로 넣는 방식과 코발트를 니켈로 대체하는 방식이 시도됨. 니켈과 코발트를 사용하지 않는 차세대 소재로 '리튬-리치 DRX'가 연구 중임.
- 리튬-리치 DRX는 기존 리튬과 전이금속이 배열된 층 구조와 달리 양이온 사이트에 무작위 배열됨. 충방전이 이루어져도 구조와 성능이 안정화됨. 수명은 270mAh/g, 평균 전압은 2.85V, 에너지는 800Wh/kg로 기존 소재보다 월등히 높음. 상용화를 위한 제조공정 향상 연구가 진행 중임.
- 니켈 리치 소재를 대체할 새로운 물질로 DRX 양극재가 연구되고 있음. 니켈과 코발트 없이도 높은 성능과 안정성을 유지함. 망간, 비활성 금속, 티타늄, 지르코늄 등이 사용됨. 가격 또한 저렴하여 경제성이 높음.
매도/수 절차
1. 기술이전 상담신청
2. 연구자 미팅
3. 기술이전 유형결정
4. 계약서 작성 및 검토
5. 계약 및 기술료 입금
문의처
웰아이피에스
담당자안종인
이메일jian@wellips.com
연락처070-8065-4613
문의처안종인
이메일jian@wellips.com
연락처070-8065-4613
보유 기술
보유 기술이 없습니다.